티스토리 뷰
목차
AP 과목,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AP(Advanced Placement) 과목 선택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어떤 과목이 쉬운지, 어떤 과목이 어려운지, 그리고 몇 학년 때 어떤 AP를 듣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고민이 많죠.
AP를 많이 듣는다고 해서 무조건 대학 입시에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의 능력과 전공에 맞는 적절한 AP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P 과목별 난이도와 추천 학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AP 과목 난이도 분석: 쉬운 과목 vs 어려운 과목
모든 AP 과목이 같은 난이도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어떤 과목은 비교적 쉽게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반면,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려운 과목도 있습니다.
✓ 비교적 쉬운 AP 과목 (3점 이상 받기 쉬운 과목)
✅ AP 환경과학(AP Environmental Science)
- 과학 과목 중에서 개념이 비교적 단순하고 암기 위주라 많은 학생들이 3점 이상을 쉽게 받습니다.
- 시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많아 이해하기 쉽습니다.
✅ AP 심리학(AP Psychology)
- 인간의 심리와 행동에 대해 배우는 과목으로, 개념 암기가 핵심입니다.
- 논리적 사고보다는 개념 이해와 암기력이 중요한 과목이라 공부한 만큼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AP 인류지리학(AP Human Geography)
- 지리와 사회 구조를 배우는 과목으로, 개념 암기 위주라 비교적 쉽게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AP 통계학(AP Statistics)
- 수학 과목이지만 복잡한 계산보다는 개념 이해가 더 중요하여, 미적분이나 물리보다 난이도가 낮은 편입니다.
✓ 상대적으로 어려운 AP 과목 (5점 받기 어려운 과목)
⚠ AP 영어 문학(AP English Literature & Composition)
- 영어 원서를 읽고 분석하는 과목이라서, 영어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어려운 과목입니다.
- 비평적 사고가 필요하며, 논술형 문제가 많아 미국 학생들에게도 까다로운 과목으로 꼽힙니다.
⚠ AP 화학(AP Chemistry)
- 계산과 개념을 모두 이해해야 하며, 실험 기반 문제도 포함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과목입니다.
⚠ AP 물리 C(AP Physics C: Mechanics & Electricity & Magnetism)
- 미적분 개념이 포함된 물리 과목으로, 수학적 사고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 특히 AP Physics C: Electricity & Magnetism은 AP 과목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과목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 AP 유럽사(AP European History)
- 방대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공부해야 하며, 논술형 문제가 많아 논리적인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2. 학년별 추천 AP 과목
AP 과목을 너무 일찍, 혹은 너무 늦게 듣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학년에 따라 적절한 AP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학년 (AP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
- AP 인류지리학 (AP Human Geography)
- AP 심리학 (AP Psychology)
- AP 환경과학 (AP Environmental Science)
이유:
AP에 익숙해지기 위한 단계입니다. 난이도가 낮고 암기 위주의 과목부터 시작하는 것이 부담이 적습니다.
✔ 10학년 (중간 난이도의 AP 도전)
- AP 세계사 (AP World History)
- AP 미국사 (AP US History)
- AP 통계학 (AP Statistics)
- AP 경제학 (AP Microeconomics & Macroeconomics)
이유:
역사나 경제학 과목은 개념 이해가 중요하며, 논리적인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다만, 지나치게 어렵지는 않아 10학년 때 듣기에 적절합니다.
✔ 11학년 (심화 AP 도전)
- AP 화학 (AP Chemistry)
- AP 생물학 (AP Biology)
- AP 영어 작문 (AP English Language & Composition)
- AP 미적분 (AP Calculus AB 또는 BC)
이유: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11학년부터는 심화 AP를 듣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STEM 전공을 목표로 한다면 수학과 과학 AP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12학년 (대학 전공과 연계된 AP 선택)
- AP 물리 C (AP Physics C)
- AP 컴퓨터 과학 (AP Computer Science A)
- AP 연구 (AP Research)
- AP 영어 문학 (AP English Literature)
이유:
12학년에는 본인의 진로와 전공에 맞춰 AP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공학을 전공할 계획이라면 AP 물리 C와 AP 미적분 BC를 듣는 것이 유리합니다.
3. AP 과목을 몇 개나 들어야 할까?
✅ 권장 AP 개수:
- 아이비리그 및 최상위권 대학: 7~12개
- 상위권 대학: 5~8개
- 중위권 대학: 3~5개
📌 주의할 점:
- AP를 많이 듣는 것보다 좋은 점수(4점 이상)를 받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너무 많은 AP를 듣다가 GPA가 낮아지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 본인의 진로와 관심 분야에 맞는 AP를 선택하는 것이 대학 입시에 유리합니다.
결론
AP 과목을 선택할 때는 자신의 실력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9학년에는 쉬운 과목으로 시작하고,
- 10~11학년에는 중간심화 난이도의 AP 과목을 선택하며,
- 12학년에는 전공과 관련된 AP 과목을 집중적으로 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AP 과목 선택이 고민이라면, 본인의 관심 분야와 대학 목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해외 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썸머 캠프 꼭 가야 할까? (+미국 입시를 위한 학년별 여름 방학 활용법) (0) | 2025.04.03 |
---|---|
SAT 고득점자도 놓치는 미국 대학 에세이 실수 5가지 (0) | 2025.04.03 |
미국 명문대 입학을 위한 AP 과목 선택과 전략 (1) | 2025.04.02 |
2026년 미국 대학 입시 변화 (0) | 2025.04.01 |
미국 대학 입시에서 소수 인종 우대 폐지, 그 영향과 대응 전략 (2)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