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명문대 도서관 이미지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AP(Advanced Placement) 과목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AP 과목을 수강하면 대학 수준의 학습을 미리 경험할 수 있고, 우수한 성적을 받을 경우 일부 대학에서는 학점으로 인정해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AP를 많이 듣는 것이 입시에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명문대 입학 사정관들은 단순한 AP 개수보다는 학생이 얼마나 도전적인 커리큘럼을 선택했는지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등 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생이 제공된 교육 기회를 최대한 활용했는가?"를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에서 제공하는 AP 과목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수강했는지가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AP 과목을 몇 개 들어야 할까요?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1. 명문대 합격생들의 평균 AP 수강 개수

    최근 몇 년간 명문대 합격생들의 데이터를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6~12개의 AP 과목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학 합격생 평균 AP 개수

    하버드 8~12개
    MIT 10~13개
    프린스턴 8~11개
    스탠퍼드 7~10개
    코넬 6~9개

     

    핵심 포인트:

    • "AP를 많이 들을수록 유리하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 적절한 개수를 유지하면서도, 난이도가 높은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각 학생의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AP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2. AP 과목 선택 전략

    (1) 학교에서 제공하는 AP 과목을 최대한 활용하라

    고등학교마다 AP 과목 개설 수가 다릅니다. 어떤 학교는 20개 이상의 AP 과목을 제공하는 반면, 어떤 학교는 10개 이하로 개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학교에서 15개 AP 과목을 제공하는데 5개만 들었다면?
    ➡️ 학업적으로 덜 도전적인 모습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학교에서 8개만 개설되었는데 6~7개를 수강했다면?
    ➡️ 충분히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즉, AP 개수보다 중요한 것은 "제공된 기회를 얼마나 활용했는가"입니다.


    (2) 외부에서 추가로 AP 과목을 수강하는 방법

    만약 다니는 학교에서 원하는 AP 과목이 개설되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가 수강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AP 과정 수강 (ex. Coursera, edX, Khan Academy)
    ✔️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수업 듣기
    ✔️ 4년제 대학의 여름 프로그램 참가

     

    ⚠️ 주의할 점:

    • 이미 학교에서 제공하는 AP 과목을 외부에서 또 듣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예: 학교에 AP Calculus가 있는데 굳이 온라인으로 같은 과목을 듣는 경우)
    • 학교에서 제공되지 않는 AP 과목을 추가로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3) 핵심 과목(Core Subject)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라

    AP 과목은 크게 핵심 과목(Core Subject)과 선택 과목(Elective Subject)으로 나뉩니다.

     

    📌 핵심 과목 (Core Subject)
    ✅ AP Calculus AB/BC
    ✅ AP Physics 1 & 2
    ✅ AP Chemistry
    ✅ AP Biology
    ✅ AP English Language & Composition
    ✅ AP English Literature & Composition
    ✅ AP US History
    ✅ AP World History

     

    📌 선택 과목 (Elective Subject)
    🔹 AP Psychology
    🔹 AP Statistics
    🔹 AP Art History
    🔹 AP Environmental Science

     

    ✔️ 핵심 과목을 우선적으로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핵심 과목이 부족하면 "도전적인 커리큘럼을 선택했다"는 인상을 주기 어렵습니다.
    ✔️ 선택 과목은 보완적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STEM vs. 인문학 균형 맞추기

    대학에서는 특정 분야에만 집중된 학생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학생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STEM(이공계) 전공을 목표로 하는 학생
    ✅ AP Calculus
    ✅ AP Physics
    ✅ AP Chemistry
    + 인문학 관련 AP 과목 2~3개 추가 (예: AP English, AP History)

     

    📌 인문학·사회과학 전공을 목표로 하는 학생
    ✅ AP English
    ✅ AP History
    ✅ AP Psychology
    + 수학·과학 관련 AP 과목 2~3개 추가 (예: AP Statistics, AP Environmental Science)

     

    이처럼 STEM 계열 학생들도 인문학 AP 과목을 일부 포함하는 것이 좋고, 인문학 계열 학생들도 수학·과학 AP 과목을 일정 부분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결론: 효과적인 AP 선택을 위한 핵심 팁

    ✔️ 학교에서 제공하는 AP 과목을 최대한 활용하라.
    ✔️ 학교에서 제공되지 않는 AP 과목은 외부 수강으로 보완하라.
    ✔️ 핵심 과목(Core Subject)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라.
    ✔️ STEM 전공자는 인문학 과목도, 인문학 전공자는 수학·과학 과목도 포함하라.
    ✔️ AP 개수보다는 "얼마나 도전적인 과목을 선택했는가"가 더 중요하다.

    명문대 입시는 단순히 AP 과목을 몇 개 들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전략적으로 선택했느냐의 문제입니다. 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최적의 AP 과목 선택 전략을 세우길 바랍니다.


     

    반응형